'위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8.16 경혈을 배우자 그 마흔한번째 - 위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2008. 8. 16. 18:17

경혈을 배우자 그 마흔한번째 - 위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2. 위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가. 위경의 순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족양명위의 경맥은 비(鼻)의 양방(兩傍) 영향(迎香)혈에서 시작하여 상행 비근부에서 좌우의 경맥이 교회하고 비근 (鼻根) 양쪽 방면으로가 족태양방광경의 정명을 교회후 목하부(目下部)를 거쳐 코의 바깥쪽을 따라 윗 잇빨 즉 상치중으로 진입한다. 

거기서 다시 돌아서 구각을 끼고 구순(입술)을 환요(環繞)하여 상향하여 코밑에 있는 독맥의 인중을 교회하고 다시 하향(下向)하여 턱의 이순구 중앙부위에서 임맥의 승장과 교회한다.

 그후 퇴전하여 하악의 후하방을 따라 본경의 대영혈로 나오고 협차를 돌아 상향 이전에 분포한다. 그후 귀앞의 권골궁 상연을 거쳐 족소양담경의 객주인과 교회한다. 귀밑머리의 가를 따라 올라가며 족소양담경의 현리, 함염을 교회하고 앞이마에 이르러 독맥의 신정혈에 교회한다.

 그 일조분지는 대영혈의 전변을 따라 하향(下向)하여 목의 후두융기(喉頭隆起)의 양방 인영에 이른다. 목구멍 즉 후롱을 따라 쇄골상와중으로 진입하여서 배부(背部)로 뒤돌아 독맥의 대추혈를 교회하고 다시 앞으로 넘어와 쇄골상와중에 있는 결분을 거쳐 하향내행(下向內行)하며 횡격막을 통과하여 임맥과 상완, 중완의 심부에서 교회하고 위 (胃)에 입속하고 비장을 락요한다.

 또 다른 일조분지는 채골 상연의 함요부에서 유부내측연변으로 직행하여 거기서 하향하여 배꼽 2치 거리되는 양옆을 따라 서경부에 진입한다. 또 다른 일조의 지맥은 위(胃)의 하구(下口)에서 시작하여 복강의 심충을 따라 하향하여 기충부에 이른다. 이 기충부에서 직행한 맥(脈)과 회합한다.

 여기서 하향(下向)하여 대퇴의 상부전면인 비관에 이르러 대퇴 전방의 융기(隆起)된 복토(伏免)에 도달하고 하향하여 슬개골 속으로 進入하며, 다시 하향하여 경골외측을 따라 발등으로 주행 둘째발가락의 외측단 여태에서 끝난다.

 상술(上述)한 지맥(支脈)은 호 무릎밑 3치(寸)의 부위에서 일조(一條)의 방지맥(傍支脈)이 분출하여 경골외측연을 따라 하행 발등에 이르고 제 2~3중족골의 사이를 뚫고 향하 가운데발가락 외측 봉단에서 끝난다. 동시에 발등에서 다시 일조의 지맥이 분출하여 하향 엄지발가락 즉 무지내측연변을 따라 그 말단으로가서 은백에서 족태음비경에 접경된다.

나. 위경의 해설

1) 위경은 胃에 관한 질병뿐만이 아니라 전체 소화기계 병을 주관한다. 예를 들면 구강, 식도, 위, 12지장, 소장, 대장, 직장 등이다. 또한 위경은 안면을 한 바퀴 유주하였으므로 고전에서(面病全屬胃)라고 하였다. 따라서 안면, 목, 전두, 구치. 콧병과 전흉질환, 유방병, 횡격막 이상, 전면 병을 치료하는 경락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위의 주임무는 倉庫之官으로 모든 음식물을 저장한다는 뜻이다. 胃氣는 생명지본으로 위에서는 기계적, 화학적인 소화 작용을 해서 청기 흡수하여 에너지 공급원이 된다. 오장육부가 胃氣를 받지 못한즉 전 기능이 소진하여지고, 胃氣를 받은즉 오장육부가 모든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만약 위기가 순조롭지 못한즉 인신의 전체가 병들게 되므로 치병에 있어서 위를 제일 먼저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기가 있은 즉 치료가 용이하나, 위기가 없을 때는 위험하고 병도 잘 났지 않는다.

3) 脾와 胃는 표리의 음양 관계이므로 상호 기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위의 병을 脾경에서, 脾의 병은 위경에서 치료한다. 특히 비허면 위실이므로 비허는 위실에서 진찰하고, 위실일 때는 비허에서 진찰을 한다.

4) 기계적인 소화 작용 : 연동 운동(교동운동)으로 음식물을 혼합하여 죽같이 한다.

화학적인 소화 작용 : 펩신은 단백질-포도당으로 분해, 리파제는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린 분해 위의 신경은 교감신경이 있어서 위의 운동을 억제, 부교감신경이 있어서 위의 운동을 촉진시킨다.

  다. 위의 허실 구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위허는 비실에서 구별한다. 위의 실증은 다음과 같다.

1. 실하면 간질과 미친 병이 일고 허하면 대퇴부와 다리가 오므라들고 마르고 연약하여지고 굽힐 수 없으며 락맥의 기가 궐역하여 지체되면 후비를 발생하고 갑자기 벙어리가 된다. 2. 중완혈의 압통이나 적통.
3. 전흉부 위경상의 통증.
4. 얼굴 부위 위경상의 통증.
5. 복부 위경상의 통증, 특히 천추혈 압통.
6. 족경상의 삼리, 상. 하거허의 통증.
7. 제2, 3지의 마비.
8. 위유혈, 위창혈의 압통.

 2. 위의 허실 증상

1). 위실증의 경우위실증도 비허증과 같이 좌측에서는 양실증이 되고, 우측에서는 신실증이 된다. 그러므로 맥박이 느리고, 힘이 없는 사람에게는 비보방이 좋고, 맥박이 빠르거나 힘이 있는 사람은 위사방이 좋다. 위실증자는 中脘을 누르면 몹시 강한 과민 압통이 생긴다. 이때에 中脘에 침을 놓으면 당장은 대단히 시원하나 자꾸만 자침하면 위가 매우 답답하며, 제반 병이 악화되므로 주의하지 않을 수 가 없다. 이 위장병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대단히 많으면서도 잘 치료가 안되고 있다. 그것은 단순한 자극만 주기 때문인데 위사방을 쓰고 중초 기본방을 쓰면 매우 잘 치료된다.

오랜 위염, 위무력, 위산과다, 위궤양 등등의 많은 병이 위사방으로 치료되는 예가 대단히 많다. 그러나 식사 요법. 정신요법도 중요하지만 금할 것은 절대로 中脘에는 자극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의 병증세가 심한 사람은 위사방과 중초 기본방에 활용하면 대단히 좋다.

2). 위가 허약한 경우위허는 음실증에 속한다. 즉 비실, 위허가 된다. 비실이면 배꼽옆 4촌 되는 대횡 부분에 과민한 압통점이 나타나는데 주로 우측으로 나타나는 예가 많으며, 좌측으로도 나타난다. 주로 배가 냉한 사람, 빈혈이 극히 심한 사람, 신허, 요통이 심한 사람, 신경통이 심한 사람, 삼차 신경통(얼굴이 대단히 쑤시고 아픈 것), 정력 부족, 피부병, 수족이 얼음같이 찬 사람, 대식가, 대식을 하면서도 배 힘이 없어서 기진맥진하는 사람, 허기진 사람, 본태성 고혈압, 전신불수, 간질, 정신병, 미친병, 신경이 우둔한 사람, 이런 사람에게는 中脘에 자극을 주는 것이 좋으나, 좌측에서는 언제나 위사방을 써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