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의 순환과 해설 및 허실구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8.21 경혈을 배우자 그 백열세번째 -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2008. 8. 21. 14:44

경혈을 배우자 그 백열세번째 -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2. 심경의 순환과 해설 및 허실구별

가. 심경의 순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소음심경의 경맥은 심중(心中)에서 시작하여 심장주위의 혈관등의 조직에 속(屬)한 후 하향(下向)하여 횡격막을 통과하여서 더 밑으로 내려가 소장과 연락된다.
그 일조분지는 심계에서 분출하여 식도(食道)를 따라 상행 안구의 주위조직으로 연계된다.

또다른 일조지맥은 심계에서 폐로 직상한 다음 하향(下向)하여 액와 즉 겨드랑이 밑으로 비스듬이 빠저나와 상완의 내측후변을 따라 수태음폐경의 후면으로 내 려간다. 그리고 팔꿈치 폐경과 수궐음심포경의 내후방으로 하향(下向)해서 전완 내측 척골(尺骨)에 있는 두상골의 돌기(突起)에 도달하여서 손바닥의 소지쪽으로 진입하여 소지 내측을 따라 손톱의 내측말단에 있는 소충혈에서 끝난다

나. 심경의 해설

1) 심경은 심장과 혈관계, 순환계, 정신을 관리하며 조절한다.

2) 심은 심포에 대하여 군화이고, 소장과는 陰陽表裡의 관계이므로 상호 기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심의 병은 소장경에서 치료하고, 소장의 병은 심경으로 치료한다.
심허이면 소장 실이고, 소장 허이면 심실이다.

3) 적응증

가). 심화는 군주지관, 신명출어 정신이 존재한다.
나). 순환계 병을 주로 치료한다.
순환계 ① 혈관계 - 혈액(심장, 혈관) - 동맥 정맥 모세혈관.
          ② 임파계 - 임파 - 임파절, 임파관.
다). 심장병을 주치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치 : 심경에 싸여서 양쪽 폐의 중간에서 정중선보다 약간 3분의2가량 좌측에 있다.
크기 : 그 자신의 주먹만한 크기라고 한다.
형태 : 원추형, 구조 : 심내막, 심근조직, 심외막이 있다
작용 : 박동에 의하여 혈액순환의 원동력이 된다.
심박동 : 성인은 1분간 약 70회이고, 유아일수록 박동 수는 많다.
심장은 자율적인 운동에 의하여 수축과 확장을 규칙적으로 되풀이한다. 이것은 심장 벽에 있는 특수한 근섬유(자극전도계) 때문이다.
처음에는 흥분이 동방결절(洞房結節)에서 일어나 심방 벽을 수축시킨다. 동시에 흥분이 방실결절(房室結節)로 전달되어 히스속을 거쳐서 프르키니에 섬유로 전달되어 심실의 수축을 일으킨다. 즉, 심장은 동방결절의 자율성 리듬에 의해서 박동을 계속한다. 이 동방결절에서는 자율적으로 10㎂의 전류가 발생한다고 한다.
심장은 관상동맥에 의하여 영양을 공급받고 있다. 이 관상동맥에는 좌우의 관상동맥이 있다.
심장의 신경은 교감신경이 있어서 심장의 운동을 촉진시키고, 부교감신경이 있어서 심장의 운동을 억제한다. 심장의 혈액순환에는 대순환, 소순환, 문맥 순환이 있으며, 혈압에서 최대혈압은 심실의 수축 기압으로 110∼120mm/Hg이며, 최저 혈압은 심실의 확장 기압으로 70∼80 mm/Hg이다.
맥박 수는 성인은 70∼80회, 학생 80∼90회, 유아 120회 정도, 신생아 120∼140회

다. 심장의 虛實 區別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심허는 소장 실이나 신실증에서 구별하고, 심실은 다음과 같다.

가). 거궐, 단중의 압통
나). 주로 좌병은 심실, 우병은 심허
다). 신문, 영도, 심경상의 통증
라). 심유혈이나 양실증의 반응
마). 제2지나 제3지의 상처
바). 양실증의 반응, 대장실, 방광실

2). 심의 허실 증상

가). 심실증

심실은 양실증이며, 간혹 음실증으로도 나타난다, 심장에 한번 병이 들면 허이든 실이든 치료하기가 어렵다. 심실, 심포실은 거궐과 단중혈에 과민 압통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어제혈에서 맥박이 촉진되는 것은 전부가 심실증 많고, 다 난치병에 속할 수가 있다. 심실증 환자는 둘째손가락에 상처, 기형, 손톱의 무늬 이상 등등을 진찰할 수가 있다. 심통, 두통, 고혈압, 동맥경화, 말초의 혈액순환 장애, 요통, 좌골 신경통, 디스크, 심장 판막증, 부정맥, 대맥, 무기력, 정신이 아찔아찔한 경우, 위장병 등등에 좋다.
양실 중풍, 좌측 반신불수, 심내막염, 심장성 천식, 협심증에 좋다. 그리고 폐결핵, 허로 등도 심실이다.

나). 심허증

심허증은 신실증에 속하고, 소장 실에 속한다, 심허이면 신 실의 병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고, 방광 허증도 함께 나타난다. 심허증의 대표적인 진찰 방법은 배꼽 밑의 적통(積統)이 많이 나타난다. 우 신실증이 많은 것도 특징이므로 우 심보방을 쓸 경우가 많다.
잠잘 때 꿈이 많은 사람, 가슴이 항상 답답한 사람, 속골치가 아픈 사람, 양 눈초리 옆이 아픈 사람, 수족이 냉한 사람, 목이 뻣뻣하고 고개를 돌릴 수가 없고 아픈 사람, 견갑통(주로 우측의 승모근 루머티즘), 요척통(허리와 척추 뼈가 아픈 사람), 모든 근육, 관절 류머티즘, 신장염, 단백뇨, 자궁 염증, 적, 황대하, 오줌이 자주 나오는 사람, 전립선염, 오줌싸개, 하지 마비, 하지 무력, 편도선염, 인후염, 구내염, 난시, 언어 장애, 구안와사(마비된 쪽으로),동상, 피부병, 얼굴에 핏기가 없고 윤택하지 않은 사람, 아파트나 그늘에서 종사하는 사람, 월경통, 불임증, 목마른 병, 당뇨병, 비만증, 신실 중풍, 우측 반신불수에 언어 장애, 하부통, 만성 위염, 위산과다, 위하수, 간염, 알레르기 체질, 이명, 난청, 귀머거리, 손이 터는 병 (수전증), 고개를 흔드는 병(요두증),젖이 부족할 때, 어지러울 때, 더위먹은 병, 눈에 힘이 없을 때, 저녁때만 아픈 사람, 겨울만 되면 더 아픈 사람, 저혈압, 신경성 고혈압, 주로 여자들에게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