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8.22 경혈을 배우자 그 백마흔일곱번째 - 방광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2008. 8. 22. 11:36

경혈을 배우자 그 백마흔일곱번째 - 방광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2. 방광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 방광경의 순행

족태양방광경맥은 내안각 (內眼角)에서 상향 (上向)해서 이마 즉 액부에 분포되며, 독맥의 신정을 교회하고, 더 위로 두정부(頭頂部)에 이르러 다시 독맥의 백회혈을 교회한다.
그 일조분지는 두정부에서 분출하여 이(耳)의 상각부로 내려와 족소양담경의 곡빈, 솔곡, 부백, 두규음, 완골등과 교회 한다.
직행(直行)하는 지맥(文脈)은 두정(要項)에서 뇌(腦)로 들어가서 독맥 의 뇌호와 교회한 다음, 되돌아 나와서 하향(下向)하여 뒷목 즉 항부에 이르러 독맥의 대추와 도도혈을 교회하고 견갑근육의 내측을 따라서 척추 양옆 1.5치 거리로 요부로 직하한다.

맥기(脈氣)는 척추의 근육을 따라서 속으로 들어가 신을 락요하고 방광에 통속한다.
다른 하나의 분지는 요부에서 하행하여 척추양방1.5치를 따라 둔부를 지나서 오금 즉 슬와중으로 진입한다.
또 다른 일조분지는 뒷목에서 시작하며 척추양방 3치 거리로 견갑골내측연을 따라 견갑골하연으로 직행 하여 척추를 끼고 대퇴골의 고골대전자를 경과 족소양담경의 환도를 교회한 다음, 대퇴외측의 후면을 따라서 직하행(直下行)하여 오금슬와에서 먼저 진입된 맥(脈)과 회합 하고, 여기서 다시 하향 분포되며 비장근을 통과하여, 바깥 복사뼈 뒤 즉 외과후면으로 천출 제 5중족골조면을 따라 족소지 외측의 끝 지음에 이른다.

나. 방광경의 해설

1). 방광경은 방광, 요도와 신, 생식기, 자궁과 자율신경과 정신 계통의 모든 기능을 다스린다.

2). 방광경과 신경은 음양 표리 관계로 되어 있어 그 기능을 상호 유지한다. 신실증이 방광경에서 과민 압통점으로 나타나며, 방광경 허증은 신경에서 압통점이 나타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방광경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방광은 오줌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는 근성(筋性)의 자루 모양의 기관이다. (용량은 평균 500㎖). 일정량의 오줌이 모이면 요의(尿意)를 느끼게 되며, 방광 벽에 가해져서 오줌을 누게 된다. 남자의 방광은 치골의 뒤, 직장의 앞에 있고, 여자의 방광은 치골의 뒤로 자궁과 질의 앞에 있다. 그러나 고전에서는 "진액을 저장한다”고 했고, 기화하여 배출한다고 했다.

방광이란 것은 작은 오줌통에 불과하지만, 사람은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면 가장 위급한 병이 되므로, 오줌을 잘 누는 것은 전체 장부에 가장 큰 영양을 주고 있어서, 방광은 가장 긴 경맥과 유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든 병들 중에서 소변 못 보는 것, 이상이 있는 것을 가장 먼저 치료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우고도 있다.

다. 방광경의 허실 구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방광허는 신실에서 구별하고, 방광 실은 다음과 같다.

가). 비양 압통
나). 실하면 비새, 두통, 배에 통증이 나타나고 허하면 맑은 콧물이 흐르고 코피가 나온다.
다). 중극의 압통.
라). 위중, 곤륜, 경골의 압통
마). 상천주, 차료, 신유, 방광유의 압통
바). 유혈 전체의 압통
사). 음실증, 양실증의 양증
아). 요통(대개 척추가 같이 아플 경우도 신실이다)
자). 제 2지와 제 3지의 상처

라. 방광의 허실 증상

1) 방광 실증

방광실은 음실증도 되나 좌양실증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된다. 신허의 보방을 많이 활용하는 만큼 방광실이 되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즉 두통, 눈병, 후 두통, 견갑통, 견배통, 요통, 신경통(삼차 신경통, 좌골 신경통 등),방광염, 임질, 소변의이상, 코피, 심장병, 고혈압 등등에 좋다.

2) 방광의 허증

방광 허증은 신실증에 속한다. 즉 신실 방광 허이다. 신실이 많은 만큼 방광 허도 대단히 많은데 주로 남자들보다 여인들에게서 많은 편이다. 이것은 오줌싸개, 유뇨증, 소변이 자주 나오거나 안 나올 경우, 뒷목이 무겁고, 요척통이 심한 경우, 눈이 침침한 경우, 척추 뼈마디가 아프며, 다리 뒤쪽(방광경상)으로 땅길 때, 하복통, 부인병에 많이 응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