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환경의 새로운 지도가 그려지고 있다'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5.05 기업환경의 새로운 지도가 그려지고 있다 - 넷
2009. 5. 5. 16:54

기업환경의 새로운 지도가 그려지고 있다 - 넷

[석학에게 묻다] ④기업환경의 새로운 지도가 그려지고 있다
 

경제위기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가 되고 있다. 생존하기 위한 무한경쟁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키겠다는 기업들의 의지가 그만큼 강력한 것이다. 이러한 의지는 세계적 기업뿐 아니라 중소 기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구글 등 글로벌 기업, 광대역 인프라 사업에 관심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현재 부수적인 사업분야는 물론 주력 사업까지 변화해야 살아 남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다. 세계 1위의 인터넷 검색 기업 구글도 예외가 아니다. 구글은 경제위기가 얼마나 지속될지 모른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구글은 우선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온라인 광고시장이 축소될 것이라는 위험을 감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위험은 동시에 ‘기회'가 될 것이라는 믿음도 가지고 있다. 불황에도 모든 기업은 물건을 팔아야 하고, 이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광고이다. 따라서 광고주 요구에 맞춘 온라인 광고는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 내 대기업들은 오바마 대통령이 경기회복의 핵심 프로젝트로 내세우고 있는 정보기술(IT) 뉴딜이 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도 주목한다. 미국의 경우 여전히 수천만 명이 초고속 인터넷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광대역 인프라 관련 사업에 투자

 


무한한 가능성, 신재생에너지

또 하나 주목할 것은 신재생에너지가 새로운 기업환경의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글은 신재생에너지에도 많은 투자를 해 왔는데, 슈미츠 CEO는 에너지 인프라는 경제회복과 성장을 자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기술, 전기자동차, 지능형 전력공급 시스템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기후변화를 막아 낼 뿐 아니라 일자리도 창출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경제·금융분야의 환경 변화도 글로벌 기업들의 중요한 관심거리다. ‘경제·금융 분야에서는 이미 다자주의 시대가 개막됐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무조건 미국을 모방하는 시대는 끝났고, 세계의 권력이 분권화되고 있다. 베스트셀러 <흔들리는 세계의 축(The Post-American World)>의 지적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미국이 쇠퇴한다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들의 발전과 성장이 더 가파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점에 초점을 둔 것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파리드 자카리아 <뉴스위크> 편집장은 “세계가 직면한 도전은 이제 미국이 주도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라며,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지만 유엔이나 IMF는 힘이 모자라 G20이 새로운 국제 시스템의 중심으로 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 기업들의 목표 변화로 인한 변화

금융 기업들의 패러다임 변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금융 기업의 변화는 국내 기업이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중요한데, 특히 주목할 것은 글로벌 금융 리더 가운데 하나인 씨티그룹의 움직임이다. 씨티그룹은 그동안 급증하는 부실여신과 자산상각으로 손실이 커지면서 미국 정부로부터 450억 달러를 지원받았으며, 정부가 보유한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해 사실상 국유화 단계에 이르렀다. 이 같은 세계적 금융 기업의 변화에 따라 국내 금융 흐름의 변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구글, 씨티그룹 등 분야에 관계 없이 글로벌 기업의 기업환경 변화는 곧바로 후발 기업은 물론 소규모 기업들에까지 전이되고 있다. 기업 핵심동력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시점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 기업들에 대한 마이클 포터 하버드대 교수의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포터 교수는 “한국 경제는 R&D, innovation, globalization 등에서 탁월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취약한 노사관계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일부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화되었지만 아직도 글로벌 전체로 보면 규모가 빈약한 편”이라면서 “인적자원 활용 등을 통해 보다 글로벌화된 기업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결국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의 시기를, 세계적인 기업환경 변화에 재빨리 적응하고 내실을 기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 김경도 /
매일경제신문 산업부 기자